본문 바로가기
동물약 자세히 알기

반려동물의 만성 신질환 보조제 [루비날]

by 문밤 2023. 8. 25.
반응형

개와 고양이가 만성 신질환이 있을 때 먹는 영양 보조제인 [루비날]의 성분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루비날

 

 
 
반려동물 만성 신질환의 보조제로 [아조딜]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

 

반려동물의 신장 영양제 [아조딜]

반려동물(개, 고양이)이 신장질환이 있을 때 보조제로 쓰이는 영양제 중 [아조딜]이라는 제품의 특성과 복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려동물 중 개와 고양이에게만 사용 가능합니다. 아조딜

moonbamwalk.tistory.com

 
또 다른 보조제로 인흡착의 역할을 해주는 [이파키틴]도 있습니다.
▼▼▼

 

반려동물의 신장 질환 보조제 [이파키틴]

신부전으로 고통받는 개와 고양이는 고인산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인 결합제로 사용되는 보조제인 [이파키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파키틴은 혈액 검사 후, 신장 관련 수치를 보

moonbamwalk.tistory.com

 

루비날의 성분은?

Rheum officinale root extracts = 리움(대황) 추출물

 
만성 신부전을 앓고 있는 반려동물들이 먹는 많은 보조제 중 하나에 루비날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약용 대황 추출물이며, 신장의 만성 염증으로 인한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고, 신장수치를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대황 추출물과 그 효과에 대한 내용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먼저, 사람에게서 만성 신장 질환(CKD) 환자에게 Rheum officinale의 효능을 평가한 연구를 보겠습니다. 
2012년에 나온 리뷰 논문인데요. CKD 진행 예방을 위해 Rheum officinale의 이점과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대조시험(CRT)과 준 CRT를 포함하였습니다. 

 

대황 리뷰1

 

682명의 참가자가 포함된 9개의 연구를 비교했으며, 7개의 연구는 Rheum officinale을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와 비교했고, 나머지 2개는 captopril(ACEI)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했습니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을 때보다는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론 CKD 환자의 Scr과 BUN 수치를 개선시킬 수 있는 Rheum officinale의 효능의 증거는 부족하며 질이 낮았습니다.
 
 
그러면 동물에서의 연구는 어땠을까요.
Rheum officinale이 고양이의 만성 신장질환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2014년)를 보겠습니다.

 

대황 리뷰1

 

신장 섬유증은 만성신장질환(CKD)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신장의 저산소증을 유발하고 성장 신호와 세포의 생존을 변경하고 단백뇨를 유발하는 등 신장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s)는 신장 섬유증의 중요한 매개체가 됩니다. 중국 대황(Rheum officinale)은 TGF-β를 억제하여 항섬유화 특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고양이의 CKD의 진행을 늦출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29마리의 고양이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 대황 단독 투여군 2) benazepril 단독 투여군 3) 대황+benazepril 투여군이 되어 진행하였습니다.  
결과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체중, 적혈구 용적률, 수축기 혈압 및 UPC(urine creatinine)의 변화로 정량화된 CKD 진행과 관련하여 대황 보충제, 베나제프릴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한 치료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좀 더 잘 짜여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직까지 나온 연구 결과로는 루비날의 효과는 좀 애매합니다. 또한 루비날은 만성 신장문제를 갖고 있는 개, 고양이 사료첨가제로 허가받았으며 치료제가 아닌 단순 보조제입니다. 하지만 반려동물 보호자 분들의 투여 후기를 보면 효과가 있었다는 분도 있기에 대부분의 영양 보조제처럼 루비날의 선택은 보호자의 몫이며, 수의사의 진료와 처방 경험에 따라 복용을 정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