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우는 개와 고양이가 알레르기 증상이 있거나 가려움을 호소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소개합니다. 이 약은 인체용으로 주로 사용하지만 반려동물도 함께 먹을 수 있습니다.
★ 다른 항히스타민제는?
개 고양이의 항히스타민제 -2 [페니라민정]
우리 개와 고양이가 가려워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약으로는 항히스타민제인 [페니라민정]이 있습니다. 이 약의 특성과 복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다른 항히스타민제는? 개 고양
moonbamwalk.tistory.com
개 고양이의 알레르기 약 -3 [디멘히드리네이트]
개와 고양이의 항히스타민제로 [디멘히드리네이트]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성분의 특징과 용법, 용량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다른 알레르기 약에 대해선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moonbamwalk.tistory.com
개 고양이의 항히스타민제 - 4 [히드록시진]
사람처럼 반려동물에게 사용할 수 있는 알레르기 약(항히스타민제)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이번에는 개와 고양이에게 사용할 수 있는 성분 중 [히드록시진]을 소개합니다. 인체용으
moonbamwalk.tistory.com
세티리진 (Cetirizine Hydrochloride)
세티리진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이 약은 사람들이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복용하는 알레르기 약의 성분인데요. 환절기 때 알레르기, 재채기, 비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이 찾는 약이기도 합니다. 이 약을 어떻게 반려동물이 먹어도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약의 특성
세티리진은 H1수용체를 차단(H1 blocker)하는 항히스타민제로, 하이드록시진(Hydroxyzine)의 활성대사체입니다. H1 수용체를 차단하여 히스타민에 의해 염증반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합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과 다르게 세티리진은 혈액-뇌 장벽(BBB)을 통과하지 못해 졸음 등의 항콜린 부작용이 적게 나타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와 고양이에게서도 히스타민 매개 알레르기 증상(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기도 염증 등)에 유용한 보조 치료제로써 오프라벨로 사용됩니다.
세티리진은 아직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긴 하지만 개의 아토피 피부염에도 사용을 하는 약입니다.
세티리진을 사용한 개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 연구를 보면(Treatment of canine atopic dermatitis with cetirizine, a second generation antihistamine: A single-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2004) 아토피가 있는 23마리의 개에게 소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티리진을 경구투여했습니다. 실험이 끝난 후 18%의 개에게서 소양증이 만족스럽게 감소하였습니다. 하지만 개에게서 세티리진 사용에 관한 약동학적 정보는 제한적이며, 개의 만성 아토피 치료 관리를 위한 세티리진의 임상 평가는 좀 더 필요합니다.
2. 용법 용량
▶ 개
하루 한번 1 mg/kg 혹은 10–20 mg/dog의 용량을 12–24시간마다 사용
▶고양이
하루 한번 1 mg/kg 혹은 5 mg/cat의 용량을 12–24시간마다 사용
3. 부작용
세티리진은 개와 고양이에게서 내약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구토, 과다 침 분비가 일부 개에서 보고 되었습니다.
또한 소형견에게 고용량을 줬을 때 졸음이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4. 주의
동물에게서 구체적인 정보는 없습니다.
사람 치료에 준해서 봤을 때, 세티리진은 항콜린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콜린 약물을 쓰면 안 되는 상황(녹내장, 장폐색, 심장부정맥 등)에서는 금기입니다.
또한 슈도에페드린과의 복합제 사용은 개나 고양이에게 적합하지 않습니다.
(참고)
국내에서 세티리진은 동물용 의약품으로 생산되는 게 없으므로 인체용 약을 사용합니다. 약국에서 세티리진 성분의 약은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지르텍, 코나진, 세티진, 티리진 등 여러 회사에서 동일한 성분의 약이 나오며 1 정당 세티리진 10mg을 함유합니다. 반드시 반려동물에겐 세티리진 단일 성분의 약을 줘야 하며 슈도에페드린과 함께 섞여있는 제품(코감기약)을 주면 안 됩니다.
또한 임신, 수유 중인 동물에게는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니 사용하지 않습니다.
'동물약 자세히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완화 보조제 [질켄] (1) | 2023.08.22 |
---|---|
반려동물 치약 선택은? (반려동물 치약 성분 파헤치기) (0) | 2023.08.17 |
천연 모기(진드기) 기피제는 반려동물에게 안전할까요? (0) | 2023.07.20 |
사람 모기(진드기) 기피제를 반려동물에게 써도 되나요? (0) | 2023.07.18 |
반려동물의 신장 질환 보조제 [이파키틴]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