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전으로 고통받는 개와 고양이는 고인산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인 결합제로 사용되는 보조제인 [이파키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파키틴은 혈액 검사 후, 신장 관련 수치를 보고 복용하는 약입니다.
임의로 반려동물에게 투약하면 안 됩니다.
★ 반려동물의 신장 질환 보조제
반려동물의 신장 영양제 [아조딜]
반려동물(개, 고양이)이 신장질환이 있을 때 보조제로 쓰이는 영양제 중 [아조딜]이라는 제품의 특성과 복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와 고양이 모두에게 사용 가능합니다. ★ 반려동물
moonbamwalk.tistory.com
반려동물의 신질환 보조제 [레날 독/캣]
반려동물이 신장 질환이 있을 때 먹을 수 있는 여러 보조제가 있는데요. [레날 독/캣]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레날 어드밴스드]에 대해 궁금하다면? 반려동물의 신질환 보조제 [레날
moonbamwalk.tistory.com
반려동물의 신질환 보조제 [레날어드밴스드 독/캣]
반려동물의 신장질환에는 여러 보조제가 있습니다. 그중 [레날어드밴스드]의 성분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날 어드밴스드는 독/캣으로 구분되어 나옵니다. 성분의 차이가 있습니다.
moonbamwalk.tistory.com
이파키틴의 성분은?
Calcium carbonate……………………10%
Chitosan (crab shell extract)………… 8%
Lactose………………………………... 82%
탄산칼슘 (Calcium carbonate)
인(P, 인산염)은 체내 전해질 중 하나로 생체 에너지인 ATP의 성분이며, 신경 및 근육 기능에 필수적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경우에는 신장에서 인을 배설하는 기능이 떨어져 혈청 인 농도가 증가해서 고인산혈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식욕상실, 체중감소,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고인산혈증으로 인해 칼슘과 인이 결합하여 저칼슘혈증이 생기고, 뼈가 약화되며, 칼슘이 혈관이나 조직에 침착되서 석회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차적으로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식이에서 인 섭취를 제한해 인이 축적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하지만 식이 제한만으로는 인의 축적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인 결합제를 복용하여 고인산혈증을 관리하게 됩니다.
인결합제는 칼슘계(칼슘이 포함된 약)와 비칼슘계(칼슘이 포함되지 않은 약)로 나뉩니다.
이파키틴에 들어있는 탄산칼슘은 칼슘계 인 결합제로, 칼슘이 인과 결합해서 인의 흡수를 억제합니다. 하지만 약물이 흡수되어 고칼슘혈증이나 혈관석회화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으며, 변비의 부작용도 있습니다.
인결합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 포스팅으로 미루겠습니다.
키토산 (Chitosan)
키토산은 쥐와 인간에서 혈중 요소와 크레아티닌 수치를 낮춘다고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고양이에게서 혈중 인과 요소를 감소시킵니다.
: 탄산칼슘과 키토산은 인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키토산은 임상적인 증상을 초래하는 일부 요독소와 결합합니다.
(참고)
혈중인산염 약 30% 감소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61% 감소
신기능의 안정화
키토산 작용으로 혈중 칼슘 농도 증가는 없었음
치료 중지 즉시 인과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증가
이파키틴은 장기간의 실험을 통해서 그 효과가 입증된 인 흡착제입니다.
만성 신질환을 앓고 있는 고양이에게 정상 사료와 함께 급여했을 때
혈중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 조절 효과, 칼슘의 안전성 효과가 위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제조사 측 정보. ref. 홍익메디케어)
1. 용법 용량
체중 5kg당 1g의 양을 1일 2회 사료에 섞거나 그 위에 뿌려서 줍니다.
(식사에 들어있는 인과 결합해야 하므로 식사 중 또는 식사 직후 바로 복용해야 합니다.)
혹은 다음을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스푼 = 1g)
- 3-5 kg: 하루 2 스푼
- 10 kg : 하루 4 스푼
- 15 kg : 하루 6 스푼
- 20 kg : 하루 8 스푼
2. 부작용
- 너무 많은 물을 마시거나, 소변을 많이 봄
- 구토 및 설사
-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 우울증
- 혈구 수치가 낮아짐(빈혈)
- 저칼륨혈증으로 인한 전반적인 쇠약증상
'동물약 자세히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 모기(진드기) 기피제는 반려동물에게 안전할까요? (0) | 2023.07.20 |
---|---|
사람 모기(진드기) 기피제를 반려동물에게 써도 되나요? (0) | 2023.07.18 |
반려동물의 신장 영양제 [아조딜] (0) | 2023.07.03 |
반려동물의 간질환 치료제 (1) | 2023.06.12 |
개 고양이 간영양제 [사메탑] (0) | 2023.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