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개는 이버멕틴 성분의 심장사상충약을 먹으면 소변이 진해집니다. 왜일까요? (+ 소변사진 주의)
★ 이버멕틴 성분의 심장사상충약은?
[심장사상충약] 하트세이버
심장사상충약 중에서 가장 먼저 출시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성분은 이버멕틴입니다. 복용 시 주의할 점과 부작용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성분을 가지고 있는 약은 오리지널 약으로
moonbamwalk.tistory.com
★ 셀라멕틴 성분의 심장사상충약은?
[심장사상충약] 캐치원(스팟온)
심장사상충 약 중 안전하다고 알려진 셀라멕틴 성분의 특징, 주의할 점, 부작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성분의 오리지널 약은 레볼루션이며, 이와 같은 성분의 제네릭 약으로는 캐치원
moonbamwalk.tistory.com
★ 목시덱틴 성분의 심장사상충약은?
[심장사상충약] 임팩트 (스팟온)
목시덱틴이란 성분을 가지고 있는 심장사상충약은 스팟온 제형으로 개와 고양이의 목덜미에 발라줍니다. 이 성분의 특징, 부작용,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성분의 오리지널 약은
moonbamwalk.tistory.com
우리 멍멍이는 이버멕틴 성분(하트가드, 하트세이버)의 심장사상충 약을 복용해 왔습니다.(중간에 목시덱틴 성분의 약을 바른 적이 있는데 그 특유의 냄새를 개가 너무 싫어하더군요) 항상 이 약을 먹일 때마다 좀 고민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건 바로 먹고 난 후 소변색이 진하게 변한다는 것입니다.
약을 먹으면 하루 정도 소벽색이 약간 붉은 오렌지색으로 변합니다.(사진은 밝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렌지색) 소변냄새도 좀 강해짐을 느끼고, 하루정도 지속되고 다음날이면 다시 원래대로 색이 돌아옵니다. 먹을 때마다 항상 색이 변하곤 합니다. 검색해 보면 하트가드(이버멕틴)를 먹고 소변색이 진해졌다는 글을 찾을 수 있는데 이유는 다들 모릅니다. 하지만 이 성분을 먹는 모든 개들의 소변색이 변하지 않는 것을 보면 부작용인 듯합니다. 예전에도 이 점이 고민돼서 계속 서칭을 해봤지만 뚜렷한 내용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알아보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할까 합니다.
_ 이버멕틴의 부작용(독성반응)
이버멕틴은 안전하며 큰 부작용이 없습니다. 다만 MDR1유전자의 변형이 있는 종이거나, 과량 복용했을 시 독성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기소침, 무기력, 구토, 식욕감퇴, 설사, 동공확대, 보행실조, 경련, 침 흘림 등
→ 하트가드(하트세이버)를 먹었을 때도 일시적으로 무기력하거나 위장장애를 보이는 개들도 있습니다.(저희 개는 종종 약간의 무기력함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버멕틴의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아무리 찾아봐도 소변색이 변한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하트가드에 함께 들어있는 피란텔의 부작용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사람이 이버멕틴을 먹었을 때 소변색이 변하는 경우(dark urine)가 있는데 흔치 않은 '이유를 알 수 없는' 부작용으로 분류됩니다.
_ 소변색이 진해지는 이유 : 여러 가지 가능성
1) 대사과정
이버멕틴은 간에서 대사 되며 대사산물은 대변으로 배설되고, 투여량의 1% 미만이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이버멕틴의 대사산물에 의해 소변색이 일시적으로 짙어질 수 있습니다.
2) 간 기능 이상
간에 문제가 있는 경우(간염, 간경변 혹은 담관 문제)에 담즙색소가 소변으로 배출될 경우 소변색이 짙어질 수 있습니다. 평소에 간이 안 좋다면 병원에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신장 기능 이상
간에서 대사 된 이버멕틴 대사산물의 일부가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1% 미만)됩니다. 신장기능이 변하거나 혹은 이버멕틴 복용 후 수분섭취가 부족하다면 일시적인 탈수로 인해 소변이 농축될 경우 색이 짙어질 수 있습니다.
4) 기타
동물의 개체별 대사의 차이 혹은 이버멕틴 이외에 먹는 약물 혹은 특정 음식의 영향에 의해서 소변색이 짙어질 수 있습니다.
정리
시원하게 궁금증을 해소할만한 답은 솔직히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건강한 개에서 이버멕틴 복용 후 소변색이 짙어지는 현상은 대부분 이버멕틴의 대사산물이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의미하지 않으며, 일시적일 수 있기에 관찰이 필요합니다.
물론,
1) 소변색 변화가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2) 다른 이상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구토, 설사, 무기력, 식욕부진 등)
3) 간이나 신장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런 이력이 있는 경우는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피검사가 필요합니다.
저희 개는 소간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물론 현재 간수치에 이상이 있다거나 어디가 안 좋은 건 아니지만 그게 영향이 있는 걸까 걱정입니다. 이버멕틴이 안전한 약이라서 쭉 가고 싶지만 추후 셀라멕틴 제제로 변경해 본 후 어떤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심장사상충약도 정하는 거 쉽지 않네요^^;
'우리 멍멍이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췌장염의 기록 (0) | 2024.09.27 |
---|---|
강아지의 간수치가 높을 때 약물 복용 (3) | 2024.01.08 |
중성화 수술 후의 약물 복용 (2) | 2024.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