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처럼 반려동물에게 사용할 수 있는 알레르기 약(항히스타민제)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이번에는 개와 고양이에게 사용할 수 있는 성분 중 [히드록시진]을 소개합니다.
인체용으로 히드록시진 성분의 약은 아디팜정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이라 처방이 필요합니다.
★ 다른 항히스타민제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개 고양이의 알레르기 약 -1 [세티리진]
키우는 개와 고양이가 알레르기 증상이 있거나 가려움을 호소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소개합니다. 이 약은 인체용으로 주로 사용하지만 반려동물도 함께 먹을 수 있습니다. 세티
moonbamwalk.tistory.com
개 고양이의 알레르기 약 -2 [페니라민정]
우리 개와 고양이가 가려워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약으로는 항히스타민제인 [페니라민정]이 있습니다. 이 약의 특성과 복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다른 알레르기약인 [세티리진]에 대해
moonbamwalk.tistory.com
개 고양이의 알레르기 약 -3 [디멘히드리네이트]
개와 고양이의 항히스타민제로 [디멘히드리네이트]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성분의 특징과 용법, 용량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다른 알레르기 약에 대해선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moonbamwalk.tistory.com
히드록시진 염산염 (Hydroxyzine HCl)
히드록시진은 H1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하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혈액뇌장벽(BBB)을 통과하여 중추신경계에도 작용하여 졸음이나 진정작용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그렇기에 두드러기나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가려움증(알레르기 증상 완화)에 사용할 뿐 아니라, 진정 및 졸음의 부작용을 통해 불안이나 불면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습니다.
(참고)
아디팜정의 식약처 허가 효과
1. 수술 후,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초조
2. 두드러기,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가려움(습진, 피부염, 피부가려움증)
히드록시진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해(가려움 완화) 개에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항히스타민제가 있고 동물마다 반응성이 다를 수 있기에 각각을 시도해 볼 수 있는데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함으로써 20-40%의 개에서 가려움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부 고양이에게도 사용할 수 있지만 클로르페니라민이 좀 더 일반적으로 고양이에게 사용됩니다. 히드록시진은 경구로 투여 시 빠르게 잘 흡수되며, 효과는 일반적으로 개에게서는 6-8시간, 고양이에게는 최대 12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동물들에게 히드록시진의 사용은 FDA 승인을 받지 않은 오프라벨 사용입니다.
1. 용법 용량
개)
가려움증 치료를 위해 2mg/kg을 하루 3번, 8시간마다 복용
고양이)
가려움증 치료를 위해 1-2mg/kg 또는 5-10mg/cat를 8-12시간마다 복용
2. 부작용
가장 큰 부작용은 진정 작용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경미하고 일시적으로 나타납니다. 이 외 덜 흔한 부작용으로는
- 개 : 흥분, 떨림 드물게 발작
- 고양이 : 다음증, 우울증, 행동의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과다복용하면 진정 작용이 크게 나타나며 저혈압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3. 주의
1) 동물마다 항히스타민제의 반응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히드록시진의 복용량도 동물 개개인에 맞춰야 합니다.
2) 나이가 든 동물은 항히스타민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낮은 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항콜린작용으로 인해 녹내장, 전립선 비대, 방광 경부 폐쇄가 있는 경우, 또는 부정맥이나 심부전이 있는 경우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사람에게서 히드록시진의 사용은 심전도에서 QT간격 연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심부정맥을 야기할 수 있는 증상 혹은 증후가 있는 경우 히드록시진 투여를 중단할 것을 권고받았습니다.
'동물약 자세히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감기약은 어떤게 있을까요? (0) | 2023.12.21 |
---|---|
[심장사상충약] 심파리카 / 심파리카 트리오 (2) | 2023.12.15 |
반려동물 변비에 [마그밀]을 먹어도 될까요? (0) | 2023.11.24 |
반려동물의 신질환 보조제 [레날 독/캣] (2) | 2023.11.01 |
반려동물의 신질환 보조제 [레날어드밴스드 독/캣] (0) | 2023.10.24 |
댓글